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영어뉴스 영어공부
- JavaScript
- 지하온천에 대한 뉴스로하는 영어 공부
- python virtual environment create window
- 자바스크립트 객체
- Math.random
- 대입연산자
- javascript for
- python virtual environment create mac
- lie와 lay 비교
- lie 과거형
- Hot springs tourism
- lie와 lay의 차이점
- 자바스크립트 for
- lay 과거형
- VScode에서 들여쓰기 해제 하는 방법
- abc뉴스 영어공부
- fizzbuzz
- 왕초보 자바스크립트
- lay 과거분사
- boolean
- VScode 주석 단축기 ctrl + / 안될때
- DOM
- 자바스크립트 배열
- 자바스크립트
- 자바스크립트 데이터타입
- lie 과거분사
- If
- 변수
- shift + tab
- Today
- Total
목록IT/JavaScript (54)
김숭늉 마음대로
자바스크립트에서 반복문을 쓸때 사용하는 for와 while 루프! // for loop keeps running while condition is true for (let rep = 1; rep

안녕하세요. 오늘도 김숭늉입니다. 이번글에서는 자바스크립트의 객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레쓰고~ 자바스크립트의 객체란? (javascript object) 키와 밸유로 이루어진 프로퍼티의 정렬되어있지 않은 집합을 말한다. (프로퍼티 값은 함수로도 올수있고, 이러한 프로퍼티는 메소드라고 함) # 배열 (array)와 객체(object)의 차이 ? 배열은 명시하는 데이터 위치로 엑세스하지만 객체에서는 우리가 붙인 이름을 통해 데이터에서 접근 할수 있음, const seungyeon = { firstName: "seungyeon", // 키 : 밸유 (값) lastName: "kim", age: 2037 - 1989, friends: ["minbi", "mionhyeok"], }; ⬆️ 콘솔에 객체를 찍어보..
자바스크립트 배열 생성하기 (javascript array) 자바스크립트에서 배열을 생성하는 방식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 안에 값을 작성하는 법과, new array 함수를 통하여 배열을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const friends = ["Michael", "Steven", "Peter"]; // 첫번째 방식 console.log(friends); const y = new Array(1991, 1984, 2008, 2020); // 두번째 방식 console.log(friends[0]); 자바스크립트 배열의 길이 (javascript array length) 자바스크립트에서 배열의 길이를 알아보는 법은 .length 를 통해 가능합니다. const friends = ["Michael", "Steve..
함수 declaration 선언식 - 호이스팅에 영향을 받음 [선언방식] const 함수이름 = function (){ return 구현로직 } //function declaration function calcAge1(birthYear) { return 2037 - birthYear; } const age1 = calcAge1(1991); function fruit(apples, oranges) { const juice = `juice with ${apples} apples and ${oranges} oranges`; return juice; } const appleJuice = fruit(3, 5); // arguments console.log(appleJuice); const appleOrangeJi..

자바스크립트 스트릭트 모드란? 안전한 코드를 작성 할수 있도록 엄격하게 오류 검사를 시행해주는 모드를 말함! 엄격한 모드는 특정 작업을 금지시켜주시고 하고 눈에 보이는 오류를 알려줌 그럼 스트릭모드 적용? 자바스크립트 문서 상단에 "use strict";를 항상 작성 해주면 끝! "use strict"; 스트릭모드 예시 // "use strict"; let hasDriversLicense = false; const passTest = true; if (passTest) hasDriverLicense = true; if (hasDriversLicense) console.log("I can't drive"); 스트릭트 모드를 쓰면 콘솔창에서 아래와같이 구체으로 어디에서 오류가 났는지에 대하여 알려준다.
자바스크립트 스위치 조건문 (javascript switch) 자바스크립트에서는 if-else의 조건문으로 조건을 작성할수도 있겠지만, 표현하고자 하는 조건이 다수일 경우에는 if-else문을 계속에서 해용하는것보다 switch 조건문을 통해서 작성하는것이 훨씬 코드 가독성이 좋다. //////////////////////////////////// // The switch Statement const day = 'friday'; switch (day) { case 'monday': // day === 'monday' console.log('Plan course structure'); console.log('Go to coding meetup'); break; case 'tuesday': console.l..
안녕하세요. 자바스크립트 = = = 와 = = 연산자의 차이와 자바스크립트 논리연산자 (logical operator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바스크립트 = = = 와 = = 연산자의 차이? 자바스크립트의 === 와 == 연산자의 차지는 ===은 strict해서 값과 두 변수의 유형 모두 체크하지만 ==의 경우는 값만 비교하여 체크한다. 실제 개발을 하면서는 항상 ===의 등호를 이용하는것이 좋다 ! 버그를 피하기 위해서는! # 간단한 예제 const age = 18; if (age === 18) console.log("You just became an adult (strict) :)"); // 조건이 하나밖에 없으면 {} 안써도 됨! 한줄이 작성해도 무방함! if (age == 18) console..
안녕하세요. 타입 변환 (type conversion), 강제 형변환 (type coercion), 그리고 불리언(boolea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바스크립트 타입 변환 (javascript type conversion)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밸유는 각자의 특성 즉, 타입이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고유한 특성을 의도적으로 변형 시켜야하는 경우 가 있는데요 예를들어, 문자열을 숫자로 바꾸거나 숫자를 불리언으로 바꾸는 등의 케이스 입니다. 이러한 경우는 자바스크립트 언어 사용에 있어 항상 있는 일입니다. const inputYear = "1991"; // 문자열 console.log(inputYear + 18); // 199118 문자열 + 숫자 console.log(Number(inputYear) +..
안녕하세요. 김숭늉입니다. 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if else, control structure(컨트롤 스트럭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바스크립트 조건문 (javascript conditional statements) - if 자바스크립트 조건문은 if statement 라고도 합니다. 작성한 코드의 조건에 따라 참과, 거짓을 판별하고 그 결과에 따라 조건문을 실행하게 됩니다. 간단한 예제로 알아보겠습니다. const age = 19; const isOldEnough = age >= 18; // true if (isOldEnough) { // 괄호안에 참일때 실행됨 console.log("Sarah can star drinving license! 🚗"); } isOldEnough 변수는 ..

안녕하세요. 김숭늉입니다. 이번글에서는 자바스크립트 백틱사용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javascript 백틱 (`) 사용법 맥의 경우 (옵션키 + ~)를 누르면 백틱을 사용할수 있으며, 윈도우 PC에서는 (숫자 1번 좌측에 ~키와 같이 배치)되어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와 함께 문자열이나 숫자를 쓰는경우 + 를 통해 각 스트링과 변수, 숫자를 이어줘야 합니다. 이렇게 하나하나 끊어서 (이어서) 사용하는 경우 프론트에 노출되었을때 어떻게 문자가 노출되는지 예상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const firstName = "seungyeon"; const job = "teacher"; const birthYear = 1989; const year = 2037; const seungyeon =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