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숭늉 마음대로

인터프리터 언어와 컴파일 언어란? 차이점은? 본문

IT/웹개발 (100일 도전)

인터프리터 언어와 컴파일 언어란? 차이점은?

김숭늉이 2024. 1. 24. 17:12
728x90

 

컴파일러 언어(compiled language)언어란?

 

코드 실행전에 소스코드 전부를 기계어(기계어란 컴퓨터의 CPU에서 직접 처리할수 있는 언어로 2진화된 숫자(2진법)으로 이루어짐)로 변환한 후 컴퓨터 내부에서 바로 실행된다.

 

따라서 컴파일 단계와 실행단계가 분리 되어있으며 컴파일단계를 거친 이후에는 실행할수 있는 준비가 된것이므로, 실행단계에서 실행속도가 빠르다.

 

여기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언어로는 C, C++, Rust가 있다.

 

인터프리터 언어과 비교하여 두드러지는 장점은 실행속도면에서 우위에 있기때문에 성능이 중요한 게임개발, 프로그램 개발에 사용된다. 

 

 

인터프리터 언어(interpreter language)란?

 

소스를 한줄 한줄씩 읽고 해석하여 즉시 실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언어로는 Python, JavaScript, Ruby가 있다.

 

소스가 한줄씩 해석되므로, 디버깅이 용이하다.

 

컴파일러 언어와는 다르게 인터프리트 단계와 실행단계가 분리되어 있지 않아 실행속도가 다소 느릴수 있다.

 

 

 

 

 

추가) 기계어, 어셈블리어, 고급언어 비교가 잘 정리되어 있는 블로그 아래 참고 (옹치키님 블로그)

https://velog.io/@chun_gil/%EC%BB%B4%ED%93%A8%ED%84%B0-%EA%B5%AC%EC%A1%B0-2.-%EA%B8%B0%EA%B3%84%EC%96%B4-%EC%96%B4%EC%85%88%EB%B8%94%EB%A6%AC%EC%96%B4-%EA%B3%A0%EA%B8%89%EC%96%B8%EC%96%B4-%EB%B9%84%EA%B5%9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