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자바스크립트 for
- lie와 lay의 차이점
- 대입연산자
- Math.random
- python virtual environment create mac
- 자바스크립트
- abc뉴스 영어공부
- If
- JavaScript
- fizzbuzz
- 지하온천에 대한 뉴스로하는 영어 공부
- python virtual environment create window
- 변수
- javascript for
- lie 과거분사
- 영어뉴스 영어공부
- 자바스크립트 객체
- lie 과거형
- 왕초보 자바스크립트
- shift + tab
- DOM
- 자바스크립트 배열
- lay 과거분사
- VScode에서 들여쓰기 해제 하는 방법
- Hot springs tourism
- VScode 주석 단축기 ctrl + / 안될때
- boolean
- lie와 lay 비교
- 자바스크립트 데이터타입
- lay 과거형
- Today
- Total
목록IT (105)
김숭늉 마음대로
1. Method란? 객체 프로퍼티로 할당된 함수! let boy = { name : 'Mike', showName: function() { //이름을 보여줘 console.log(boy.name) } }; boy.showName(); // mike 출력 let boy = { name : 'Mike', showName: function() { //이름을 보여줘 console.log(boy.name) } }; let man = boy; man.name = 'tom' console.log(boy.name) /// tom으로 출력됨 let boy = { name : 'Mike', showName: function() { //이름을 보여줘 console.log(boy.name) } }; let man = boy..
const superman = { name : 'clark', age : 30, } superman.haircolor = 'black'; // 추가 superman['hobby'] = 'football'; // 추가 console.log(superman.name) delete superman.age; console.log(superman) function makeObject(name, age){ return{ name : name, // name으로 축약가능 age : age, / age로 축약가능 hobby : 'football' } } const Mike = makeObject('Mike', 30) console.log(Mike); console.log('age' in Mike) // true con..
1. 함수 선언문 vs 함수 표현식의 차이점? - 함수선언문 : 어디서든 호출 할수 있음 (호이스팅!) - 함수표현식 : 이름이 없는 함수를 만들고 변수로 선언해서 할당! 한줄씩 차례대로 읽음 호이스팅! 자바스크립트는 선언된 함수를 먼저 읽는다! => 인터프리터 언어! 2. 함수 표현식에서의 화살표 함수 -> 함수를 보다 간결하게 작성할수 있다! showError(); let showError = function(){ console.log('error'); // uncaught Reference Error가 찍힘 } //화살표함수 let showError = ()=> { console.log('error'); } showError(); const sayHello = (name) => { const msg..
1. 브라우저가 가지고있는 내장함수 ex) console. alert. confirm... 등 // 함수작성 // 매개변수가 없는 함수 function showError(){ alert('에러가 발생했습니다. 다시 시도해주세요') } showError(); //함수 호출 //함수 작성 function sayhello(name){ const msg = `hello, ${name}`; console.log(msg) } sayhello('seungyeon') // 함수 호출 sayhello('minyhyeok') // 함수 호출 //함수 작성 function guenyang(name){ const altmsg = 'hello ' + name + ', welcome!'; console.log(altmsg) } ..
1. switch문은 if, else 와 같은 역할을함! 2. switch 문 break와 꼭 함께 써줘야함! let fruit = prompt('무슨 과일을 사고 싶나요?') switch(fruit){ case '사과' : console.log('100원 입니다.'); break case '바나나' : console.log('200원 입니다.') break case '포도' : console.log('500원입니다.') break case '멜론' : case '수박' : console.log('700원 입니다.') break default : console.log('그런 과일은 없습니다.') }
1. for 반복문 (명확한 횟수가 정해져있는 경우 많이 씀) ㄴ 동일한 작업을 여러번 반복할때! 초기값을 지정하고 조건이 true 이면 코드실행후 1 증가 ! for (let i = 1; i < 11; i++){ console.log(i) } ㄴ 콘솔에 1부터 10까지 찍힌다! 2. let, while 반복문 (명확한 횟수가 정해져있지 않은경우) let i = 0; while(i
논리 연산자의 종류는 세가지가 있음! 1. 논리연산자 OR! 2. 논리연산자 AND 3. 논리연산자 NOT ㄴ TRUE와 FALSE를 반대값으로 바꿔줌! 스티브잡스는 한국이거나(OR) 남자이다. ===> TRUE ㄴ 첫번째 True를 발견하면 평가를 즉시 멈춤 스티브잡스는 한국인이고(AND) 남자이다. ===> FALSE ㄴ 첫번째 Fales를 발견하면 평가를 즉시 멈춤 **** OR // OR // 이름이 TOM 이거나 성인이면 통과 const name ="Mike"; const age = 30; if(name === 'Tom' || age > 19){ console.log('통과'); } // and // 이름이 Mike이고 성인이면 통과 if(name === 'Mike' && age > 19){ c..
1. 비교 연산자 (노란색 글씨!) tip : ctrl + , 하면 vsc 설정창 으로 이동! console.log(10>5); //true console.log(10==5); //fales 동등연산자 console.log(10!=5); //true -> true 혹은 false로 값이 도출됨 2. 동등 연산자 / 일치 연산자 const a = 1; const b = "1"; console.log(a==b); // true로 값 도출됨 "동등 연산자" console.log(a===b); // fales로 값 도출됨 "일치 연산자" 3. 조건문 (if, else if, else) it 문에 들어가는것을 평가해서 true면 실행되게 한다! let age = 20; if(age > 19) { console.l..
1. 연산자 (Operators) ㄴ우선순위는 곱셉과 나누기 나머지(%)는 생각보다 자주 쓰인다! 2) 연산자 줄여서 쓰기 let num = 10; num = num + 5; // num +=5; -> 윗줄의 계산식과 동일함 console.log(num) let num = 10; num += 5; console.log(num) 3) 증가연산자, 감소연산자 let num = 10; let result = ++num; // num--; -> 11로 출력됨 console.log(result) -> num++를 쓰면 num가 10으로 변동이 없음 ㄴ 증가시키기전의 값을 result에 넣는다!
1. 형변환이 왜 필요할까? ㄴ "문자" + "문자" = 문자를 이어서 보내줌 ㄴ 100 + 200 = 300 (계산해서 보여줌) 예제로 개념 이해하기!!! 1) 예제 1 ==>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음 const mathScore = prompt('수학 몇점 맞았니?'); const engScore = prompt('영어는 몇점 맞았니?'); const result = (mathScore + engScore) / 2 // 평균값 계산하기 console.log(result) -> 입력값에 수학 50점 영어 20점 넣고 콘솔 확인해보면 아래와같이 이상하게 나옴. ㄴ prompt로 입력받은 값은 문자형(string)으로 취급되기 때문!!! const mathScore = 90; const engScor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