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숭늉 마음대로

Udemy section 6 (14일차) - GitHub 개인 엑세스 토큰, 깃 클론, 프로젝트 공동작업, 프로젝트 기여 본문

IT/웹개발 (100일 도전)

Udemy section 6 (14일차) - GitHub 개인 엑세스 토큰, 깃 클론, 프로젝트 공동작업, 프로젝트 기여

김숭늉이 2023. 2. 19. 14:50
728x90

 

앞서 URL로 git과 github를 연결한걸로 알았는데,

 

1. 개인인증 토큰이 필요한이유는 뭘까?

 

우리가 원격 저장소를 만들었다고는 하지만 URL을 가지고있는사람이 모두 코드를 보낼수있다면 안되잖아? 그래서 git에서 만들어놓은건데~

   ->  토큰을 가지고있는 사람이면 모든 저장소에 대한 접근을 허용 / 유출되지 않도록 보안에 유의하기!!

 

*** 토큰인증 관련 아래 참고!

https://jootc.com/p/201905122828

 

[Git] 개인 액세스 토큰을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 진행하기 - JooTC

git 액세스 토큰 생성

jootc.com

 

 

 

 

2) 시스템에서 토큰 삭제하려는 경우 (ex, 새로운 토큰을 추가하고 싶을떄)

      (개인인증토큰 리셋하는 방법)

 

 

  윈도우 컴퓨터에서 작업하는 경우 읽어보세요.

다음 강의에서는 깃을 통해 깃허브 계정에 액세스할 수 있는 키인 개인적인 액세스 토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스템에서 이 토큰을 삭제하려는 경우엔(예: 새 토큰 추가), 다음 강의 7:40에 맥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명령 대신 VS 코드의 통합 명령 프롬프트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하세요.

 

  1. git credential reject => ENTER
  2. host=github.com => ENTER
  3. protocol=https => ENTER (엔터를 두번치기)

 

 

3) 원격 저장소의 컨텐츠를 로컬 저장소에 복제할때는 

 

   -> git init 을(초기화) 하지않고, 아래 클론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 git clone https://github.com/syjennykim/web-dev-github.git . (url 붙이고 마지막에 스페이스 + . 를 치면 깃허브 폴더에 직접적으로 복사됨)

  

 

 

 

이후에 뭔가 변경사항을 저장한후 

 

git push origin main 을 작성하면 아래와 같이 다시 sign in하라는 팝업이 뜸 

 

 

 

 

4) 콜라보레이션 

 

   -> 예를들어 기밀프로젝트를 진행하려면 비공개(private) 레포지토리를 생성!

   -> 이 경우에는 특정 레포지토리에 공동작업자 추가해줘야 해!

 

깃허브의 collaboratiors 메뉴에서 add people을 통해 초대장을 보내게 된다

(3자는 무조건 깃허브 계정이 있어야겠지?)

 

 

 

5) 만약에 깃허브에서 파일을 수정하고 그걸 vsc에 가지고 오고 싶으면

 

git push - 로컬 레포지토리에 있는걸 원격 레포지토리에 업데이트

git pull - 깃허브에 있는걸 로컬에 업데이트 

 

---->여기까지가 협력이였고 6번부터는 기여에 대한 부분 

 

6) 기여 (contiribute) 

 

- 오픈소스프로젝트에서 볼수있는 개념인데 어느누구나 새로운 기능을 구현하거나 버그를 수정할수 있는 프로젝트를 의미한다! 

 

    ->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는것은 조금 다른원리임! (우리는 절대 push를 못함)

         ㄴ 저장소의 상단의 fork를 클릭해서 -> 코드를 가지고 옴 

 

    -> 그러면 실제로 소유자에게 이 코드를 적용시키라고 어떻게 요청을 보낼수 있을까?

         ---> 깃허브의 pull request 기능을 이용! (저장소의 소유자에게 쪽지를 보내는것과 같음)

   

 

728x90
반응형